창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자금에 대해 이야기해 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정부 정책의 경우 매년 많이 바뀌기도 하고 이슈가 많아서 꾸준하게 따로 게시판에다가 정리해야 할 것 같습니다.
사업 시작을 위한 자금
2020년 정부 창업지원금, 예비창업자, 소기업, 중소기업 1조 4517억 원 규모로 정부의 지원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 창업 자금 마련의 중요성
- 정부 창업 지원금 정보
- 창업 지원금 이후 또 다른 투자금
1. 창업 자금 마련의 중요성
예산 책정과 창업자금조달은 어려운 과정입니다. 필요한 자금의 종류에는 뭐가 있을지 먼저 정리해 보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1) 운영자금
인건비, 사무실 임차료, 기타 활동비, 대부분 인건비로 많이 쓰이는 편입니다.
2) 투자금의 필요성
개발 기간의 연장이라는 이유라고는 하지만 가장 핵심은 생존이 걸려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사업이라는 본질은 대출이나 투자, 매출을 통해 현금이 들어오지 않으면 망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생존을 위해 투자금 유치는 고민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3) 매출 활동
결국 사업이라는 본질은 매출을 늘려야 하는 것이기는 합니다. 하지만 스타트업의 특성상 대출을 끌어오던지, 투자를 유치하던지 먼제 J커브를 만든 후 수익 모델을 찾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그러다 보니 대출 방법이나 투자를 받기 위한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쏟기도 합니다.
2. 정부 창업 지원금 정보 등
- 투자 유치 : 개인/가족/지인, 엑셀러레이터, 크라우드 펀딩, 에인절투자, 벤처캐피털
- 은행 : 담보 대출, 순수 신용
- 보증기금 : 기술 보증기금, 신용보증 기금
- *정부 창업지원 : 과학기술부,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 *정부 R&D 사업 : 정부 주도 기술 연구개발 참여를 통해 출연자금 획득
- *정책자금 차입 : 저리의 융자 정책자금, 시설자금
*정부 사업은 대부분 3~4월에 몰려 있으니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청년 창업 지원금 종류
청년전용 창업자금지원, 예비창업패키지, 초기 창업패키지, 창업도약 패키지, 창업 성공 패키지(글로벌 창업 사관학교), K-스타트업 정보보호 초기 창업기업 육성 등등 그때그때 직접 찾아봐야 합니다.
3. 창업자금이후 또 다른 투자금
1) Free Money (친구&가족, 연구 사업, 정부 창업지원)
최고의 수단입니다. 대출 빚과 같은 빚도 아니며, 지분을 뺏기지도 않습니다. 유일한 창업자금이나 소수의 사업에 적합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단점은 주변 지인, 가족과의 관계를 악화시키거나 사업관계로 지인과 어색해질 수도 있는 큰 리스크가 있습니다. 차라리 대출을 받아 빚을 지는 것이 좋을 수 있는 부분입니다.
2) 대출 및 빚 (친구&가족, 은행, 금융 회사들, 벤처 융자 관련 회사들)
작은 사업을 시작할 때 적합한 방법입니다. 지분을 제공할 필요도 없어 좋지만, 현금 유통이 안 되는 상황에서는 위험합니다. 결국 대출 때문에 파산 및 압류 과정을 겪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3) 주식 & 주주 (친구&가족, 에인절 투자자, 벤처 캐피털 회사들, 연금 운영사, 국제 투자, 투자은행)
엔젤투자를 잘 만나게 되면 좋은 사업 조언자가 되기도 하고 주변 네트워크 활용과 첫 IR 설명을 진행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다수가 비전문적인 투자자로 경영에 관여하는 경우이므로 잘 못 만나게 될 경우 갑질이나 세부 관리를 할 때 문제가 따르게 됩니다. 보통 사업 투자자가 되고 싶은 전직 변호사, 의사, 부동산 임대업자, 기업 임원들이 엔젤투자자로 활동 중입니다.
벤처 캐피털 투자자의 경우에는 몇몇의 파트너로 구성된 곳입니다. 보험회사, 은행, 퇴직자금 펀드, 대학 기부금 등에서 자본을 끌어 모아 전문 투자자, 유한회사로 투자 사업을 진행하는 곳입니다. 특정 분야의 전문가 집단이 전문적으로 관리해 주기도 하고 규모 자체도 x00 억 규모의 큰 투자도 가능하고 IPO 까지지원받기도 하며 투자받는 것 자체가 신용을 올려 주기도 합니다. 자기들이 가지고 있는 포트폴리오 내 다른 기업과 연계해서 매출을 발생시켜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특정 타입의 고속 성장과 목표 금액이 있는 사업 기업이 아니라면 잘 단점일 수 있습니다. 지분을 많이 넘겨야 하기도 하고 이사회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하고 경영을 잘 못한다면 창업자를 해고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스티브 잡스도 이런 이유로 해고를 당했습니다.
4) Seed - A - B - C 프로세스
금액은 예시를 든 것이지만 대략적으로 정리한다면 위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고 보여주셨습니다.
5) 창업 자금에 따른 부담
- 정부지원자금 : 다양한 자료제출과 사업 방향과 활동에 지장을 받을 수 있음.
- 대출 자금 : 매달 이자 부담, 실패 시 개인 채무
- 지분 투자 : 사업 성장 시 창업자 수익금 감소
과제
- 창업 1년 예산안 만들어 보기
- 자신에게 맞는 창업지원 자금 찾아보기
지분율 관리도 중요함 최종 콜 할 수 있는 사람에게 지분을 몰아두는 게 의사결정의 속도 측면에서도 유리하다는 팁을 주셨습니다.
'창업, 스타트업 Start up > 2021 실전창업교육 1기 (씨엔티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단계] 12강 지식재산권 개요 (분할 출원 특허 BM 기술요소 플랫폼 비즈니스) (0) | 2021.05.19 |
---|---|
[1단계] 11강 Storytelling IR (스타트업 스토리 텔링 창업 이념 가치) (0) | 2021.05.18 |
[1단계] 9강 스타트업을 위한 마케팅과 판로 개척 방법 (Airbnb Case 초기 성장) (0) | 2021.05.16 |
[1단계] 8강 사업계획서 작성연습 방법 (IR 피칭 피치 핵심) (0) | 2021.05.14 |
[1단계] 7강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BM수립) (0) | 2021.05.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