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업, 스타트업 Start up/2021 실전창업교육 1기 (씨엔티테크)

[1단계] 7강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BM수립)

by ♾⚕⨊⪒૱ 2021. 5. 12.
반응형

창업에 있어서 처음이자 전부는 BM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국 돈을 번다고 하는 것이 사업의 본질이기 때문입니다. 

시장의 문제를 발견(정의)해서 해결하는 방식이 사업 활동입니다. 국가 정책 덕분에 이런 양질의 강의를 들어볼 수 있어 좋습니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1. 고객 세분화 Customer Segments
  2. 가치제안 Value Propositions
  3. 핵심 활동 Key Activity
  4. 핵심자원 Key Resource
  5. 비용구조 Cost Structure
  6. 핵심 파트너 Key Partner
  7. 유통채널 Channels
  8. 수익 흐름 Revenue Streams
  9. 고객관계 Customer Relationships

9가지 구성요소가 있는데 이 칸들을 위와 같은 순서로 채우면 된다는 엄청난 꿀팁과 함께 강의가 시작됩니다.

 

0. 개요

비즈니스모델-캔버스-Business-Model-Canvas-도식화-이미지
비즈니스모델 캔버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사업 모델을 구체화시키는 툴이며, 어떠한 순서로 보는 것이 중요한지 설명이 이어집니다.

 

1. 고객 세분화(Customer Segments) VS. 차별점(Unfaired Advantage)

먼저 타깃시장을 정의해야 합니다. 소액 금융 P2P 대출 시장이나 특정 지역의 하숙생이나 업종이나 고객 등을 세분화해서 본인이 가장 이길 수 있는 전선을 설정해야 함을 항상 강조하셨습니다. 누구를 대상으로 설정하는지 결정하는 과정이 Segmentation입니다. 

 

린 캔버스에서는 Unfaired Advangage (강점) 항목이 있습니다. 강점을 고려해서 타깃 시장을 정의한다면 자연스럽게 두 가지 의미를 모두 담아낼 수 있겠습니다. 1차적으로 뾰족한 액팅 타기팅을 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2. 가치제안 Value Propositions

사업이란 내가 무슨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의 과정입니다. 위 세분화 과정을 통해 무슨 문제점을 정의했고 누구를 대상으로 설정했다면 이번 단계는 '어떻게' 해결할지 설정하는 단계입니다. 그러한 설루션을 제공하는 단계입니다. 

 

 

 

가치 제안의 경우 기능적으로 가능한 세세하게 적는 것이 좋다는 팁을 주셨습니다. CRM을 고려해 가면서 쓰다 보면 자세하게 작성할 수 있어집니다. 

 

3. 핵심 활동 Key Activity

핵심 활동을 정의한다는 것은 그 문제 해결을 위해 뭘 해야 할지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4. 핵심자원 Key Resource

핵심 활동 나열하다 보면 핵심 자원이 정의할 수 있어집니다. 그러한 활동을 위해서는 장비나, 무선망이나, 대출을 통한 자금, 국가인증, 특허 등의 필요 자원을 정의할 수 있어집니다. 

 

 

 

5. 비용구조 Cost Structure

자원을 정의하다 보면 비용이 정의되기 시작합니다. 뭐가 필요하고 대출은 얼마를 받아야 하며, 어떠한 정책들을 신청해야 하는지 등 고려하다 보면 비용적으로 정의되게 됩니다. 이걸 기반으로 목표 매출과 수익을 정의할 수 있어집니다. 

 

6. 핵심 파트너 Key Partner

핵심 파트너를 설정하게 됩니다. 이때 중요한 부분은 원가를 줄여주거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파트너가 필요합니다. 투자 금액에 비례해서 예상해 보며 파트너를 정의해 볼 수 있습니다. 약점을 정의한 후에 파트너를 찾아보는 것도 팁.

 

7. 유통채널 Channels

영업채널, 유통채널 등등 찾는 과정입니다. 어느 채널을 통해 내 제품을 판매하게 될지 정의하게 됩니다. 그러한 과정에서 원가를 절감시켜주는 등 필요한 파트너를 다시 한번 검토해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6번의 핵심 파트너 부분의 경우 2번 채우게 되는 구조입니다. 

 

 

 

8. 수익 원 Revenue Streams

매출을 예측해 보거나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입니다. 어느 정도의 매출이 나와 줘야 BEP를 통과하게 될지와 수익률은 어느 정도 형성될지 결정할 수 있게 됩니다. 

 

수익이 없다면 이 부분에서 막힐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쓰는 부분이므로 채워 낼 수 있습니다. 광고 비즈니스 모델은 DAU가 가장 중요합니다. DAU만 나오면 다양한 수익구조가 나올 것으로 알기 때문에 DAU만 잘 나와주면 상관없는 부분입니다. 

 

 

 

9. 고객 관계 Customer Relationship

앞선 개념보다 상위단계임. 앞선 단계들은 사업이 성립되냐 마냐의 문제 정도지만 이건 사업이 되는 것이고 그다음 고객을 어떻게 관리하고 모을지에 대한 이야기 이기 때문

 

과제

실제로 비즈니스 캔버스 작성해 보기였는데 보통 일이 아니었습니다.

 

thumbnail-썸네일
썸네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