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5강에서 배운 내용 중 Ideate 단계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공감으로 문제를 정의했고, 그 문제를 풀어낼 때, Ideation으로 Business Model을 수립하게 되는데, 이때 필요한 구조적인 것들에 대해 배웠습니다. 학교 수업시간에 졸면서 들었던 것 같은데, 필요성에 의해 듣게 되니 소중한 재산이었더라고요.
- Diverge and Converge for Problem & Idea
- Problem Define and Select Idea
- SWOT Analysis
- Pros and Cons Analysis
- Decision Matrix
- Synthesis and Strategy
- One-linear and Lean Canvas
- Our Challenge
Ideation 방법론
사업을 시작함에 있어 문제점들이 확산/축소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정의된 문제들 중에서 어떤 아이디어를 선택할 것인지 중요합니다. 이때, 그 선택을 도와주는 툴들이 있습니다. 3가지의 도움되는 툴을 공부하고 One-Liner와 Lean Canvas에 대해 배워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이디어 고르는데 도움을 주는 툴(의사결정 Tool)
이미 많이 알고 계실 수도 있는 대표적인 3가지를 소개합니다. 스왓(SWOT) 분석, Pros and Cons, Decision Matrix입니다.
- SWOT
- Pros and Cons
- Decision Matrix
SWOT(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s) Analysis
기업을 분석하여 내/외부 적으로 강점, 약점, 기회, 위협을 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기법입니다. 4가지 항목이 만들어지다 보니 직관적으로 확인이 힘들어 최근에는 IR자료보다는 부록(Appendix)에 넣는 추세라고 합니다.
Pros and Cons
장/단점을 나누어 정리하는 방식으로 장점과 단점을 써두고 그 밑으로 항목들을 작성해 나갑니다. 그리고 항목별로 점수로 매기는 등의 방법을 통해 장점의 점수와 단점의 점수를 소거시켜 나가거나 각각의 총합을 구하여 비교하는 것으로 의사결정하는 방식입니다. NASA에서 사용하는 툴로 유명합니다.
Decision Matrix (의사결정 매트릭스)
대안이 여러 개 있을 때 어떠한 대안이 최선이지 정할 때 쓰는 툴입니다. 다음 단계에서 뭘 해야 하는지 의사결정의 기초를 제공해 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 허용 가능한 프로그램의 복잡성
- 분명한 시장 수요
- 허용 가능한 경쟁강도
- 합리적인 투자 회수 기간
- 허용 가능한 시작 기간
- 회사와 잘 어울리는지
- 회사가 이미 강한 독점적 지위를 가지고 있는지
- 성장을 위한 좋은 플랫폼이 될 수 있는지
예를 들어 위와 같은 평가 기준이 있다고 하면, 현재 고민하고 있는 사항들을 위 항목으로 평가해 보는 방법입니다. 어떠한 방법으로 등급을 나누고 평가할 지도 정해야 하므로 난이도가 어려운 편입니다. 얼마나 경쟁력 있는지, 페이백 타임 적당한지, 시작점에 자본 같은 게 적정한지, 회사 방향에 맞는지를 하나하나 비교해 보는 방식입니다. 항목별로 얼마나 동의하는지, 얼마나 확신하는지 두 번씩 체크하면서 결정의 정확도를 높여 결정합니다.
여기까지 하게 되면 앞서 배운 Hybrid Approach에서 Inspiration -> Ideation 단계까지 진행된 상태로 이제는 Creation (창출) 단계입니다. 이제 어떻게든 정의된 문제, 아이디어를 보여줄 수 있어야 합니다.
아이디어 정의하는 방법, 정리 및 팁 (Method & Tips)
- 기록하기 : 아이디어들을 쭉 기록하기
- 서술하기 : 기록한 것들을 실제 고객들이 어떤 식으로 사용하게 될지 그 흐름을 상상해서 서술해 보기
- 시각적으로 공유하기 : 대단한 프로토 타입은 아니더라도 시각적으로 만들어서 팀원들과 공유해 보기
- 직감을 활용하라 : 직감을 활용해서 필요한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 보기
위 과정들을 통해 결과적으로 실현할 아이디어를 선정을 하는 과정입니다.
구현하기
아이디어를 먼저 정확하게 정의하고, 간단한 동영상 등의 가능한 간편한 방법으로 구현을 해보고 One-liner, 린 캔버스도 만들어 보는 과정을 빨리 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Identify Patterns
리서치 결과를 기반으로 수집한 이야기들을 가지고 정보 사이의 패턴, 유사성, 관계 등을 규정해 보는 과정으로 명확하게 만들어 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Build/Prototype
https://www.youtube.com/watch?v=-SOeMA3DUEs
정말 큰 가르침을 배웠던 부분입니다. 위 영상 링크를 들어가 보시면 소프트웨어 앱을 프로토 타입으로 정말 간단하게 영상 촬영으로 구현했습니다. 저는 그전까지는 MVP라고 해도 일단 앱이어야 된다는 고정관념에 사로 잡혀 있었습니다.
One-Liner
우리 회사는 뭘 하는 회사인지 정말 한 문장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방향성이 명확해지기도 하고 이게 잘 써지게 됐을 때 IR 첫 페이지에 사용하면 정말 좋은 구조가 된다고 합니다.
- 예시 1 : (company name) is developing (a defined offering) to help (a target customer) by providing (problem solution) with (secret sauce), 우리 회사는 뭘 제공하고 고객은 누구이며 문제는 무엇이고 그걸 뭘로 해결할 것이다.
- 예시 2 : 콤피야드라는 온라인 베이스의 올인원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하는데, 언어 학습자들에게 도움을 주려고 하는데 실시간으로 실시간으로 언어교환 파트너를 찾아주는데 머신러닝을 활용해서 그렇게 하겠다.
Lean Canvas
린 캔버스의 경우 워낙 유명해서 인터넷 상에서 여러 툴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쪼개 보면 왼쪽이 cost structured, 오른쪽이 revenue structured입니다. 왼쪽은 내가 가지고 있는 resource에 관한 것들이고 오른쪽은 이 resource를 가지고 customer에게 제품을 전달할 것인지를 적어야 합니다. 그래서 오른쪽 작성은 힘들지만, 내가 가진건 이런 거고 이런 게 있으면 좋겠다 정도는 입력해서 채워 보도록 하겠습니다.
과제
- SWOT, Pros-Cons를 BM에 적용해 보기
- One-liner를 작성해 보기
- Lean Canvas를 작성해 보기
'창업, 스타트업 Start up > 2021 실전창업교육 1기 (씨엔티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단계] 8강 사업계획서 작성연습 방법 (IR 피칭 피치 핵심) (0) | 2021.05.14 |
---|---|
[1단계] 7강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BM수립) (0) | 2021.05.12 |
[1단계] 5강 공감(Empathy)과 정의(Define)를 통한 고객 니즈 발굴 (0) | 2021.05.07 |
[1단계] 4강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문화와 생태 정리 (Startup Silicon Valley) (0) | 2021.05.06 |
[1단계] 3강 팀빌딩과 조직화 방법 (CEO, CTO, 개발자) (0) | 2021.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