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업, 스타트업 Start up/2021 실전창업교육 1기 (씨엔티테크)

[1단계] 3강 팀빌딩과 조직화 방법 (CEO, CTO, 개발자)

by ♾⚕⨊⪒૱ 2021. 5. 5.
반응형

벌써 3~4강 시간입니다. 강의 시간은 짧지만 구성이 너무 알차다 보니 시간이 너무 빨리 흘러갑니다. 실리콘밸리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해 주시다 보니 뭔가 바이블을 들어보는 듯한(?)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스타트업의 구성

제일 처음 드는 궁금증이기도 했습니다. 대체 저 스타트업들은 저런 사람들을 어디서 만나서 팀을 구성할 수 있었는지 등 궁금한 것들이 많았습니다. 

 

팀원 구하기 3가지 방법

  1. 스타트업 행사 참여
  2. 네트워크(지인 추천)를 통하여 소개받는 방법
  3. 온라인 채용 공고 및 매칭 프로그램 활용

 

 

팀원 간의 관계

  • 포지션으로 분담하기의 위험성 : 각자 특정한 업무 (개발, 디자인 등)만을 한다고 경계 짓는 것은 위험하다.
  • 연관성 유지 : 본업에 80%를 집중하고 20%는 항상 나아갈 방향이나 소통을 위해 신경 써 줘야 한다.
  • 책임감과 권위의 동일화 : 해당 업무를 맡겼다면 끝까지 맡겨주는 믿음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IT 스타트업 구성팀과 역할

포지션 별 역할

  • CEO : 사업의 비전(목적)과 로드맵 제시, 손가락을 들고 방향을 가리킬 수 있는 사람
  • CTO : 제품 및 서비스 개발&실현
  • COO : 사업 진행 단계 및 달성 수치 (목표) 검토 및 운영, CEO와 CTO가 싸우지 않게 잘 섞이도록 중재 역할

 

 

최소한의 인원과 역할(Role)

- CEO : 마케팅&영업, 법률, 인사, 모든 관리, 개발팀과 끊임없는 소통

- Senior개발자 (or CTO) : 디자인(UX), Backend, DevOps, QA 팀들과 소통 및 관리

- 개발자 : Backend (middle stack), Frontend Developer, DevOps (Cloud Architect, Admin), QA

- 디자이너 : UX(사용자) 조사, UX 디자인

- Product Meniger (PM) : CEO와 CTO를 서포트

 

팀 구성 후 고려사항

사업의 시작은 팀 구성부터 시작이지만, 창업 세계에서 시작이 반이 아니라는 게 함정입니다.

공동 창업자가 많다면?

 

 

  • 1 Co-Founder와 다수 개발자 : 1인 대표자의 운영 부담감
  • 3 Co-Founder와 소수직원 : 협의 바탕의 운영이 되다 보니 속도 측면 등의 한계

정리하자면 한 명의 의사결정 할 수 있는 책임자가 필요하다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지분 및 합리적 처우는?

  • 원칙 : 설립 자본금을 출자한 금액만큼 가져가는 것이 원칙
  • 스톡옵션 : 급여가 시장 급여보다 적게 정해지는 경우 이들에 대한 추후 보상(인센티브 개념)

 

 

팀빌딩 할 때 중요한 3가지

  1. 같은 방향을 보고 있는지
  2. 같은 계획을 가지고 있는지
  3. 역할 매칭이 잘 되는지

 

결론 및 과제

결론

팀빌딩은다양한 상황이 많으므로 정의 내릴 수는 없지만 위의 내용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결국 싸우지 않고 팀이 잘 굴러가야 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중요하기 때문에 서로를 믿는 분위기를 잘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책임감과 권위의 동일화라는 표현이 와 닿았습니다. 

 

 

초기 MVP모델을 출시할 때에는 최소 기능만을 탑재하여 최대한 리소스를 절약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외주를 통해 제작하더라도 최소한의 금액만으로 진행하는 것을 강조하셨습니다.

과제

  • 현재 본인의 창업 상태에서 필요한 팀원의 역할과 기대는 무엇인가요?
  • 새로운 팀원들에게 어떠한 비전을 보여줄 수 있으신가요?

 

썸네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