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전근대

천년의 신라의 시작과 통일까지

by ♾⚕⨊⪒૱ 2021. 7. 24.
반응형

삼국시대에서 가장 마지막에 전성기를 맞았고 국가 정비 역시 항상 늦었습니다. 그러나 결국 삼국시대는 신라의 승리로 통일신라가 됩니다. 천년의 역사를 만들어낸 신라를 통해 꼴찌로 시작해도 1등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을 얻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1. 꼴지에서 승자가 된 신라
    1. 박혁거세의 시작
      1. 나제 동맹
      2. 지증왕의 개혁 시작
    2. 신라의 전성기
      1. 법흥왕
      2. 진흥왕
    3. 삼국통일
      1. 통일의 완성
      2. 의의

 

꼴지에서 승자가 된 신라

신라-금관
신라 금관

신라는 삼국 시대 중에서 왕이라는 칭호도 가장 마지막에 사용했을 정도로 모든 것들 이한 박자씩 늦었습니다. 왜의 침입으로 고구려에 원군을 요청하기도 하고 장수왕 때에는 백제와 힘을 합쳐서 극복하여 끝까지 살아남았습니다. 그리고 승리자는 신라가 되었습니다.

 

박혁거세의 시작

박혁거세가 사로국을 건설하면서 신라의 역사가 시작되었습니다. 초기에는 왕이라는 칭호 대신에 거서간, 차차웅, 이사금, 마립간이라는 칭호를 사용하였고 박혁거세, 석탈해, 김알지 세 명의 성씨인 박, 석, 김씨가 번갈아 가면서 왕을 맡았습니다. 그러던 중 내물 마립간 때에 왜의 침입이 오면서 제대로 된 개편이 시작됩니다.

 

왜의 치입에 큰 피해를 입고 있었던 신라는 당시 제일 강성했던 광개토대왕의 고구려에게 원군을 요청합니다. 도움에 응한 광개토 대왕은 제대로 도와 줍니다. 일단 들어온 왜를 무찌르고 금관가야가 있는 쪽으로 끝까지 추격했는데 이때 왜를 소탕하는 과정에서 금관가야를 툭 치게 되고 이를 계기로 금관가야는 힘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압도적인 고구려의 힘과 도움에 고마웠던 신라는 호우명 그릇을 통해 감사함을 표하였습니다.

 

이를 계기로 신라는 제대로 한번 해보자고 마음을 먹었는지 일단 왕권을 집중 시키기 위해 세 명의 성씨에서 김 씨 한 명으로 줄이게 되었고, 김 씨 왕조가 시작됩니다. 이러면서도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나제 동맹

이제 쫌 뭔가 해볼까 했더니 광개토대왕 다음 왕위를 이어 받은 장수왕이 제대로 남진정책을 펼친다고 합니다. 안 되겠다 싶으니 백제와 동맹을 맺게 되는데 앞서 백제 때 정리했던 것처럼 눌지 왕 때는 비유왕과 공수 동맹, 소지왕 때는 동성왕과 결혼 동맹을 맺으며 고구려와 대립하게 됩니다.

 

지증왕의 개혁 시작

슬슬 나라가 갖춰 졌고 동맹을 통해 잘 버티다 보니 생각이 깨어나게 됩니다. 지증왕에 들어서는 우리도 한번 전성기를 향해 가보고 싶었는지 개혁을 시작합니다. 일단 다른 나라들처럼 칭호를 왕으로 바꾸었고(그래서 신라에서 왕은 지증왕이 처음 나온 것입니다.), 국가명을 '신라'로 바꾸었습니다.

 

그 외 동시라는 시장을 만들었고 감독관으로 동시전을 두었고, 우경을 장려하며 민중의 삶에 신경을 쓰기 시작합니다. 매전 당하고 부탁하기만 해서인지 정복도 해보고 싶었나 봅니다. 처음이니까 소박하게 이사부 장수에게 시켜서 우산국(지금의 독도)을 정복합니다.

 

 

 

 

신라의 전성기

6세기에 들어서는 전성기의 비법을 모두 시전하면서 전성기가 시작됩니다. 또, 그렇게 강했던 고구려도 조금씩 힘을 잃어가는 상황이 맞아떨어지면서 삼국 중에서는 마지막으로 전성기를 맞이 합니다.

 

법흥왕

지증왕이 기본적인 나라 셋팅을 해 두었고, 그간 다른 나라의 전성기를 봤었기 때문에 바로 실천합니다. 우선 율령을 반포하면서 17 관등을 도입했고, 골품제를 정비했습니다. 상대등과 병부를 설치하면서 내실을 탄탄히 다지는 데에 성공합니다. 거기다가 전성기의 필수 요소인 불교를 이차돈의 순교로 공인하게 됩니다. 힘이 갖춰지고 나니 우산국보다 큰 금관가야를 슬쩍 정복하였고 위세가 올라가니 황제만 사용한다의 연호도 사용합니다. 이때 연호는 '건원'이었습니다.

 

진흥왕

법흥왕 때 쌓아둔게 있고, 마음 놓고 정복만 하면 되니 진흥왕은 정복군주였다고 생각해도 됩니다. 나라가 확 잘 나가기 시작하다 보니 전성기의 마스코트인 한강유역도 차지합니다. 한강은 고구려 것이라 함부로 건드릴 수 없으나 성왕 동맹을 맺고 고구려로부터 한강을 빼았았습니다. 그러나 막상 뺐고 나서 백제 것이 된 한성이 탐나다 보니까 뒤통수를 때려서 백제를 밀어내고 차지한 것입니다. 조급한 백제가 다시 쳐들어 왔을 때 관산성 전투에서 이기면서 성왕은 사망했고 한강 유역은 완전히 신라의 것이 됩니다.

 

삼국 중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그리고 처음으로 전성기를 맞은게 기뻤던지 자랑을 하고 싶었나 봅니다. 진흥왕이 정복을 다녔던 곳들마다 '순수비'를 세우며 업적을 남겨 두었습니다. 이 순수비는 처음에는 어떤 나라 것인지 몰랐으나 조선시대 김정희로부터 신라 진흥왕 시대 비석임이 밝혀졌습니다. 또, 한강 유역을 이용해 당항상으로 당과 교류했고, 금관 가야도 정복했으니 대가야까지 정복했습니다. 화랑도 역시 개편하면서 전성기를 누렸습니다.

 

 

 

 

삼국 통일

이 후 백제 의자왕과의 대야성 전투(642년)에서 패배하여 위기를 겪게 됩니다. 그래서 신라는 연개소문의 고구려에게 도움을 요청하지만 한강 유역을 주지 않으면 도와주지 않겠다고 하여 도움을 받지 않습니다. 이 덕분에 중국 당나라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나당 연합군으로 태종 무열왕(김춘추) 때 백제를 멸망시켰고, 문무왕 때는 통일을 완성합니다.

 

통일의 완성

막상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해 버리고 나니 당나라 입장에서도 욕심이 났습니다. 그래서 웅진도독부(백제), 계림도독부(신라 금성), 안동도호부(고구려 평양)를 설치하면서 슬금슬금 지배하려고 합니다. 신라는 이제 당나라를 손절할 때가 됐다고 생각하여 당시 고구려 부흥 운동을 지원하면서 매소성 전투(675년), 기벌포 전투(676년)에서 당군을 격퇴하면서 문무왕 때 통일 신라가 완성됩니다.

 

의의

고구려, 백제 유민들과 함께 당나라를 몰아냈다는 자주적인 성격과 최초로 삼국의 문화가 융합되었다는 것이 가장 큰 의의이지만 한 편으로는 외세인 당나라를 이용했다는 점과 대동강 이남 지역만 확보하여 고구려 땅은 상실했다는 한계점이 명확했던 통일이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