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 뉴스 및 꿀 정보

자취방 집 구할 때 손해 안 보는 방법

by ♾⚕⨊⪒૱ 2025. 4. 26.
반응형
-
자취를 준비할 때 막막한게 바로 부동산 입니다. 이름부터 복잡하고 사기때문에 걱정도 되는데, 그렇다고 누군가에게 의존하기도 꺼림직 하기도 합니다. 계약 전 반드시 체크해야 할 항목, 중개 수수료 계산법, 공과금의 진실까지 계산 할수록 스스로 돈을 아끼는거고 삶을 지킬 수 있습니다.

 

 

 

 
-
  1. 방 보러 가기 전 해야 할 일
  2. 부동산 방문과 매물 선정
  3. 직접 방 보기 & 체크 포인트
  4. 계약금과 사기 예방 방법
  5. 중개 수수료 계산법
  6. 공과금과 관리비의 진실
  7. 이사 비용과 최종 총비용 정리
-

 

1. 방 보러 가기 전 해야 할 일

우선 본인의 예산에 맞는 조건을 정해야 합니다. 보증금 500만 원에 월세 50만 원 정도가 일반적인 원룸의 기본 조건입니다. 여기서 관리비 포함 여부, 풀옵션 여부를 먼저 따져봐야 합니다.

 

부동산 사무실에서 자취방 계약을 상담받는 청년의 모습, 보증금·월세·공과금·이사비용이 아이콘으로 설명된 일러스트
자취방 계약

 

2. 부동산 방문과 매물 선정

정해진 예산이 있다면 근처 부동산 사무실에 방문해서 상담을 받는 것이 첫걸음입니다. 사무실에서는 컴퓨터로 매물 사진과 영상을 보여주며 설명을 해줍니다. 최대 5곳 정도의 후보를 정해 현장 방문을 예약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팁: 차량이 있는 중개인은 더 넓은 지역 매물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걸어서 매물 보여주는 중개인은 근처만 가능하므로 범위를 넓히려면 차량 보유 여부를 확인하세요.

 

3. 직접 방 보기 & 체크 포인트

  • 현관 보안: 도어락, CCTV 유무
  • 옵션 확인: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인덕션 등 기본 가전
  • 하자 여부: 물 새는 흔적, 벽면 곰팡이, 창문 단열 상태

풀옵션이라 해도 TV나 전자레인지, 침대는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필요하다면 중개인을 통해 협의 요청이 가능합니다.

 

4. 계약금과 사기 예방 방법

방을 고르면 바로 계약금 입금을 유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반드시 등기부등본을 확인해야 합니다. 등기부등본 상 소유자 명의와 계약서상의 명의, 계좌 명의가 일치하는지 확인하세요.

 

등기부등본은 건물의 주민등록증이라 볼 수 있으며, 사기를 예방하는 필수 문서입니다. 소유자가 아닌 사람이 계좌를 받는다면 사기일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5. 중개 수수료 계산법

중개수수료는 계약 조건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택 기준으로 보증금 500만 원 + 월세 50만 원일 경우 보통 약 22만 원 정도입니다. 상가나 근린생활시설인 경우 두 배 수준으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

 

네이버에 ‘중개 수수료 계산기’를 검색 해보고 직접 두드려 보면서 현실감을 느껴보는 것도 괜찮더라고요.

 

 

 

 

6. 공과금과 관리비의 진실

월세와는 별도로 들어가는 공과금(전기, 가스, 수도)은 꼭 체크해야 합니다. 관리비에 포함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별도로 청구됩니다.

  • 전기/가스/수도: 평균 5만 원 이상
  • 오피스텔: 10만 원 이상, 업무용 오피스텔은 20만 원~30만 원 이상 발생할 수 있음

특히 전체 통합계량기 사용 건물은 옆방에서 많이 사용하면 나도 비용 부담이 생길 수 있습니다. 반드시 개별 계량기인지 확인하세요.

 

이런 과정이 필요한 이유는 귓동냥으로만 들었던 자취에 대한 내용들이 생각보다 현실은 엄청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꼭 스스로 체크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7. 이사 비용과 총비용 정리

이사비용은 짐의 양과 거리, 층수에 따라 달라지며 기본 20만 원 이상입니다. 짐이 적다면 다마스 등 소형 차량만 불러도 가능하나, 일반적인 자취생 기준으론 이사 업체 이용을 추천드립니다.

 

총비용 예시 (보증금 500 / 월세 50 기준):

  • 보증금: 5,000,000원
  • 월세: 500,000원
  • 공과금: 50,000원
  • 중개수수료: 220,000원
  • 이사비용: 200,000원
  • 총계: 약 5,970,000원

500만 원 집이라고 해서 정말 500만 원만 준비하면 되는 건 아닙니다. 초기 입주 비용은 최소 600~700만 원은 생각하셔야 여유롭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