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후 여러 사업을 진행하다 보면 여러 서류가 필요 합니다. 그 중에서 소상공인, 중소기업 확인서의 발급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볼까 합니다. 막상 제출 전에 준비하려고 하면 꼬이는 만큼 여유 있으실 때 미리미리 발급 받으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간단하게 발급 가능합니다.
- 사이트 접속
- 회원가입
- 발급 신청
- 신청서 작성
중소기업현황정보 시스템 홈페이지
중소기업현황정보 시스템 사이트로 이동하여 회원가입을 진행 합니다. 로그인을 마치셨으면 절반은 끝난거나 다름 없습니다. 메뉴 중에서 중소기업 확인서 발급 신청을 클릭 후 신청서 작성하기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전체 동의 후 다음으로 넘어가시면 신청서 작성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신청서 작성하기
중간에 주 업종 부분의 경우 여러 사업체가 아니시라면 상관 없지만, 사업체를 여러개 운영 중이시라면 가장 매출이 많이 나오는 사업체를 기준으로 입력합니다.
주 업종
[통계분류포털]-[한국표준산업분류]-[검색]에서 제품명, 서비스명을 통해 주 업종을 찾으시면 됩니다. 주로 창업하시는 플랫폼이나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의 경우 J-정보통신업이니 참고 바랍니다. 이 때 매출이 있다면 '사업자 현황 신고자료'를 참고 하셔서 정확히 입력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상시 근로자 수
상시 근로자 숫자 역시 가이드가 함께 나와 있으므로 잘 보시고 정확하게 입력하셔야지 발급이 제대로 되므로 꼼꼼하게 확인 바랍니다. 상시 근로자 수 = 총 근로자 수 - (임원과 일용근로자, 3개월 이내 계약직 근로자, 연구전담요원, 그리고 60시간 미만의 단기 근로자)로 계산합니다.
신청 완료
신청서만 작성하고 진행하면 발급이 완료 됩니다. 원하는 언어로 확인서 발급 시 발급이 끝나게 됩니다. 이 때 자신이 등록한 업종이나 근로자 수 등의 정보에 따라 소상공인, 중소기업 확인서로 맞춰서 발급이 됩니다.
'창업, 스타트업 Start up > 각종 서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여 명세서 서식 샘플 작성 파일 (0) | 2021.07.02 |
---|---|
퇴사 후 회사 경력 증명서 양식 워드 (내용 용도 및 샘플 첨부) (0) | 2021.06.03 |
댓글